목공

목재의 기초지식 4 - 침엽수와 활엽수란?(하드우드와 소프트우)

디자인 공장장 2024. 6. 13. 11:59
728x90
반응형

 

이번에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차이점에 대해 몇 가지 관점에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침엽수와 활엽수란

전 세계에 서식하는 나무는 크게 잎의 모양을 보고 '침엽수'와 '활엽수'로 나뉜니다..

이 두 종류는 그 특성이 크게 달라 건축과 가구 자재로 유통될 때에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이름 그대로 바늘처럼 가늘고 뾰족한 모양의 잎을 가진 나무로, 은행나무 등 일부 예외가 있긴 하지만 잎의 모양을 보면 침엽수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다.

- 편백나무, 삼나무, 소나무 등이 대표적이며, 줄기가 곧게 위로 뻗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구조를 살펴보면 대부분 가도관(뿌리에서 줄기를 통해 잎으로 물을 보내는 관)을 가지고 있고, 그 관들이 가지런히 배열되어 있어 비교적 결이 고운 나무껍질이 많은 수종이 많다.

침엽수 (針葉樹) - 이름 그대로 바늘처럼 가늘고 뾰족한 모양의 잎을 가진 나무로, 은행나무 등 일부 예외가 있긴 하지만 잎의 모양을 보면 침엽수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다.

- 편백나무, 삼나무, 소나무 등이 대표적이며, 줄기가 곧게 위로 뻗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구조를 살펴보면 대부분 가도관(뿌리에서 줄기를 통해 잎으로 물을 보내는 관)을 가지고 있고, 그 관들이 가지런히 배열되어 있어 비교적 결이 고운 나무껍질이 많은 수종이 많다.
활엽수 (闊葉樹) - 잎이 넓고 납작한 형태의 수종이 많은데, 플라타너스, 호두나무, 벚나무 등을 떠올리면 틀림없다.

- 침엽수와 달리 줄기가 굵고 구부러지면서 가지를 치며 자란다.

- 가도관이 많은 침엽수와 달리 도관이 굵고 무작위로 늘어선 것도 많기 때문에 나무껍질이 비교적 거친 것이 특징이다.

 

 

2. 침엽수와 활엽수의 차이점

 

경도 및 무게의 차이

나무를 구성하는 세포와 공기의 틈새 비율을 공극률(공극률)이라고 하는데,

침엽수는 공극률이 높은(=가벼운) 반면,

활엽수는 공극률이 낮은(=무거운) 수종이 많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목재의 경우 '가벼움 = 부드러움', '무거움 = 딱딱함'이라는 공식이 성립하기 때문에 내스크래치성을 추구하면 재료가 무거워지고, 시공 효율성 등을 중시하면 가벼운 재료를 선택하게 되어 스크래치가 생기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재료를 선택할 때 그 수종에 대해서도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다양한 세포 구조를 가진 활엽수의 경우 이 이론이 적용되지 않는 나무도 있는데, 발사나무(Balsa Wood)는 활엽수임에도 불구하고 가볍고 부드럽다.

 

나뭇결의 차이

침엽수와 활엽수의 세포 구성의 차이는 나뭇결의 차이에서도 나타납니다.

침엽수는 가도관이 일렬로 정렬되어 있어 나뭇결이 곧고 선명하지만,

활엽수는 나뭇결이 무작위로 배열된 경우가 많아 나뭇결이 복잡하고 구부러져 있거나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용도의 차이

일반적으로 침엽수는 부드럽고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건물의 구조재와 마감재로 사용됩니다.

국산 침엽수는 비교적 가늘어 한 그루의 나무에서 한 그루의 기둥으로 가공하는 '심재'로도 가공되며, 수입산 침엽수는 직경이 커서 '심재'로 사용됩니다.

반면, 활엽수는 수종마다 다른 풍부한 나뭇결이나 밀도가 높고 단단한 점이 특징이기 때문에 세밀한 가공이 필요한 장식성이 높은 내장재나 가구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격의 차이

목재의 가격은 수종과 산지에 따라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침엽수, 활엽수로 일률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고 단단한 활엽수일수록 가격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세계적으로 희소가치가 높은 호두나무(월넛)나 인기 있는 체리, 티크, 오크등의 활엽수는 소나무(미송), 삼나무(측백나무) 등의  침엽수보다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DIY와 건축에 주로 쓰이는 침엽수와 활엽수 목록

 

전 세계에는 6만여 종의 나무가 존재하지만, 그 중 건축 자재로 쓰이는 나무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여기서는 주로 사용되는 수종을 일람표로 소개합니다.

 

침엽수 활엽수
소나무
(Pine)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좋아 건축 자재, 가구, 내부 장식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소나무가 전통 건축에 많이 사용됩니다. 오크
(Oak)
내구성과 강도가 뛰어나고 다양한 색상과 무늬로 인해 가구, 바닥재, 건축 자재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더글라스 퍼
(Douglas Fir)
"미송(미국산 소나무를 의미)"에 대표적인 품종입니다.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 자재, 가구, 교량 등에 사용됩니다.
월넛
(Walnut)
어두운 색상과 아름다운 무늬로 인해 고급 가구, 악기, 장식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래디에타 파인
(Radiata Pine)
"뉴송"은 뉴질랜드 소나무를 의미하는 용어로 주로 래디에타 파인을 지칭합니다.  체리
(Cherry)
붉은빛을 띠는 아름다운 색상과 부드러운 질감으로 인해 가구와 장식용 목재로 인기가 높습니다.
삼나무
(Cedar)
내구성이 뛰어나고 향기가 좋아 외부 건축 자재, 가구, 선박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메이플
(Maple)
강도와 경도가 높아 바닥재, 주방 용품, 악기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히말라야 삼나무
(Himalayan Cedar)
내구성이 높고 방충성이 있어 고급 가구와 건축 자재로 사용됩니다. 마호가니
(Mahogany)
고급스러운 붉은빛 색상과 내구성으로 인해 고급 가구와 선박 건조 등에 사용됩니다.
전나무
(Fir)
균일한 질감과 색상을 가지고 있어 건축 자재, 합판, 포장재 등에 사용됩니다. 버치
(Birch)
밝은 색상과 부드러운 질감으로 가구, 캐비닛, 합판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가문비나무
(Spruce)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 건축 자재, 종이 제조, 악기(특히 바이올린)의 제작에 사용됩니다. 티크
(Teak)
내구성이 뛰어나고 습기에 강해 야외 가구, 선박 갑판, 고급 가구 등에 사용됩니다.
잣나무
(Pine nut tree)
소프트우드이지만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 자재, 가구, 종이 펄프 등에 사용됩니다. 애쉬
(Ash)
강도와 유연성이 뛰어나 스포츠 용품, 가구, 공구 손잡이 등에 사용됩니다.
라지
(Larch)
내구성과 방수성이 뛰어나 야외 건축 자재, 가구, 선박 등에 사용됩니다. 쿠쿠
(kuku)
고급스러움과 캐주얼함이 있는 온목으로 월넛의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DIY로  좋아하는 품종입니다..^^

 

 

728x90
반응형